나의 이야기

느림의 미학 872 새싹

김흥만 2025. 2. 22. 10:14

2025.  2.  22.  10;00

연일 영하 10도를 오르내리는 강추위가

무섭지도 않은지 냉이가 땅바닥에서 빼꼼히

고개를 들며 강인한 생명력을 보여준다.

 

봄의 자연은 참으로 신비롭다.

아무리 추워도 때가 되자 겨우내 언 땅이

녹기 시작하고 숨 죽였던 생명이 기지개를

켜니 말이다.

 

개불알꽃, 봄맞이꽃, 양지꽃, 제비꽃의

새싹은 어디에 꽁꽁 숨었는지 보이지

않는다.

 

햇빛 닿지 않는 숲 속 한구석에 숨어있나

두리번거리며 찾는다.

 

한구석을 집중해서 보니 개불알꽃 새순이

꼬물거리며 고개를 내밀기 시작한다.

 

작고 여린 꼬맹이 꽃들이 제대로 탄생을 하고

살아남으려면 햇볕 잘 드는 곳을 찾아서

뿌리를 내리고 줄기를 뻗어야 하는데 나만의

기우(杞憂)인가.

                <2021.  3. 14. 검단산에서 만난 노루귀  >

 

저렇게 작은 생명들은 누구도 대신 싹을

틔워 줄 수 없다.

 

겨우내 땅속에 숨었다가 씨앗의 두꺼운

껍데기를 찢는 고통도, 꽁꽁 얼어붙어 단단

해진 땅을 뚫고 나오며 겪을 고난도 오롯이

스스로 감당해야 한다.

 

가을엔 수많은 홀씨와 열매를 날려 보내고,

어미의 몸체에서 떠난 긴 이별의 겨울이

지나가며 봄은 다시 오고 있다.

 

홀씨에서 태어난 새싹들이 뿌리를 땅속에

단단히 박고 무성한 줄기와 가지를 뻗어

무수한 잎사귀와 꽃을 피우는 것이 자신의

의무임을 숲 속의 새 생명들은 안다.

 

오늘도 묵묵히 안간힘을 쓰는 자연의 새

생명들을 보며 어리석은 인간세상을 경계

한다.

 

                    2025.  2.  22.

                        석천  흥만  졸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