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촌놈이다.
촌놈도 완전한 촌놈이 아니고 얼치기 촌놈이다.
차라리 농사도 짓고 소도 길러본 촌놈이라면 의문점이 없을텐데~워낙에 뻰질거려
아버지나 형제들한테도 뻰질이로 낙인 찍힌 나는 비교적 힘든 일을 하지 않고 자랐다.
워낭소리?
워낭소리란 무엇일까?
소를 움직이게 할 땐 "이랴!"
소를 멈추게 할 땐 "워!워!" 하는데~워낭이란 소의 목이나 머리부분에 다는 방울이다.
딸랑! 딸랑!
요즘 <워낭소리>란 독립영화가 꽤나 인기다.
평생 땅을 지키는 최노인이 30년을 넘게 부려온 소의 나이가 무려 40살이 넘었다 한다.
소의 수명은 평균 15년인데~
귀가 잘 안들리는 최노인과 이 소는 최고의 친구요, 농기구요, 자가용이다.
무뚝뚝한 노인과 이 소의 환상적인 우정에 이어 죽음을 지켜보는 쓸쓸함을 보며
진한 감정을 느낀다.
소는 포유동물로서 높이 1.2~1.5m 정도 자라며,
검은소, 흰소, 누렁이, 얼룩소 등이 있으며 짧은 털이 나 있다.
뿔은 없거나 한 쌍이 있고, 발굽은 둘로 갈라져 있으며, 꼬리는 가늘고 술 모양의 털이 있다.
풀을 주로 먹고 되새김을 하며, 옛날부터 우리에게 아주 유용한 가축으로 운반, 경작따위에
쓰며 고기나 젓은 식용으로 가죽, 뿔 등도 여러가지로 이용되며 버리는 부분이 하나도 없다.
내가 다니던 진천중학교 옆 서울로 가는 17번 국도변에 도축장이 있다/
비가 오는 날~소들은 좁은 트럭의 짐칸 위에서 서로의 몸을 부대끼면서 하염없이 비를
맞으며 서 있다.
소들은 자신이 가는 곳을 안다.
자신이 가는 곳을 아는 듯 장엄하게 서 있다가 큰 눈망울에 눈물이 그렁그렁거리다
결국은 눈물을 뚝뚝 떨어뜨린다.
도살장 안으로 들어가지 않으려고 몸부림 치다가
막상 도살장 안으로 들어서서는 체념한 듯 무거운 걸음으로 뚜벅뚜벅 걸어 들어간다.
큰 해머를 써서 도축을 하는데 좀 더 고통을 줄여주는 방법이 없을까?
지난 번 예봉산 등산 후
등산로 입구 싸리나무집에서 닭볶음탕을 주문한다.
주변에 있던 닭들은 일제히 찢어지는 목소리로 울어대기 시작하는데,
그 소리가 얼마나 처절한지~잠시 후 토종닭 한 마리가 주인의 손아귀에 잡혀
바로 탈수기 안으로 들어가고, 10여 분 후에 털까지 뽑힌채 음식재료가 되어 나온다.
조금 전 까지 돌아다니며 모이를 쪼아먹던 토종닭에 대한 미안한 생각으로
난 거의 먹지 못했다.
물론 그 이후엔 생닭은 주문을 못하고 항상 냉동닭으로 먹는 버릇이 생겼다.
그 닭들은 자신들의 죽음이 임박한 것을 온몸으로 느꼈던 거다.
다른 걸 주문했으면 그 닭이 단 며칠이라도 더 살았을텐데 하며친구들에게 이야기 하니
내가 많이 소심해졌다 한다.
사실이다.
17년이나 살다 간 밍키(요크셔 테리어) 생각에 개고기도 못 먹는다.
은퇴 후 산과 대자연 속에서 느림의 미학을 실천하려 노력하다 보니
세밀한 부분까지 관찰이 되고, 사소한 부분도 마음의 짐이 되니~
왜?
훌훌 털지 못하는 걸까?
잠시 상념에 젖는다.
2009. 3. 27. 석천 흥만 졸필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느림의 미학 47 벼룩의 간을 빼먹는 <KB 국민은행>? (0) | 2017.03.21 |
---|---|
느림의 미학 46 개(견犬)란? (0) | 2017.03.21 |
[스크랩] 느림의 미학42 <화이트 데이>를 아시나요? (0) | 2017.03.21 |
[스크랩] 느림의 미학39 4월 정기산행지인 <달마산과 함초> (0) | 2017.03.21 |
[스크랩] 느림의 미학37 만병통치 <간을 튼튼하게 해주는 냉이> (0) | 2017.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