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5. 6. 14;00
오늘도 종일 비가 내린다.
어제 내린 40mm도 부족해 20mm 이상 더 내리는 중이다.
이번 비는 시인이 윤물무성(潤物無聲)으로 사랑하던
봄비가 아니고 포악한 장맛비로 보이는 건 나만의
생각인가.
서재에서 당구채널을 보다가 거실에 나와 서성댄다.
서성대는 것도 바로 싫증이 나 침대에 누워 빈둥대다가
냉장고를 뒤진다.
휴! 다행이다.
아직도 마른오징어 세 마리가 비닐봉지에 담긴 채로
남아있다.
옆에도 오래된 마른오징어 한 마리가 또 보인다.
아마도 세 마리 짜린 작년 아들내외가 강원도 여행을 다녀
오며 열 마리짜리 반축을 사 왔고 그중에서 세 마리가
남은 모양이다.
예전에는 20마리짜리 한축을 사왔는데 요즘엔 한축
가격이 15만 원 정도라 누구라도 부담스럽겠지.
옆에 한 마리는 언제부터 냉장고 구석에 있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데,
오징어에 대한 사랑이 유별나게 많은 나는 마른오징어에게
'오여사'라고 부르며 장난을 친다.
학교에서 소풍을 갈 때는 어머니가 김밥 도시락과 마른
오징어 한 마리, 삶은 달걀 한 개, 사과 한 개를 간식으로
챙겨 주셨던 추억도 지금 떠오른다.
< 당점섬과 예봉산 >
어른이 되어서도 냉장고에는 늘 마른오징어가 있었고,
이렇게 비가 오는 날에는 날궂이로 한 마리를 구워서 씹는
즐거움이 있었다.
집에서 음주(飮酒)를 즐기지 않아도 오징어를 자주 씹었고,
아들과 야구장에 가서는 응원을 하며 두 마리를 씹어도
거뜬할 정도로 치아가 건강하고 지금도 유지하고 있다.
또한 대폿집이나 호프집에 들리게 되면 제일 먼저 주문하는
안주는 구운 오징어였고,
동해안 오징어보다는 울릉도 오징어를 더 좋아했으며,
배 오징어보다는 바닷가에서 해풍으로 건조한 오징어를
더 좋아했지.
그러나 오징어값이 천정부지로 올라 '금징어'라는 별명이
붙고 나서는 노랫말처럼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당신'이
되었다.
몇 년 전부터 오징어가 잘 잡히지 않는다는 사유로
마리당 2~3천 원 하던 오징어가 작은 것도 7~8천 원은
예사고,
하나로마트에서 생물 오징어 한 마리에 1만 5천 원이
붙은 가격표를 보고 오징어 사랑을 접어버린 거다.
일박산행을 가서도 일행들의 눈치를 봐가며 장바구니에
슬쩍 한 마리를 집어넣는 것도 최근엔 자제를 한다.
한 마리만 산다면 4~5천 원 비싸진 거다.
막걸리값은 3천 원에서 5천 원으로 올랐어도 별로 부담을
느끼지 않고, 또 다른데 쓰는 돈은 따지지 않더니 유독
오징어를 살 때면 왜 이리 인색하고 민감해질까.
비싸면 비싼 대로 그냥 사면되는 건데 참 묘한 심리다.
물론 노가리와 멸치로 대체하여도 된다.
그러나 예전에 오징어를 편안하게 사서 먹던 때만 생각하며
배신감을 느끼고 그에 대한 보상심리로 사 먹지 않는 지도
모르겠다.
냉장고에서 꺼낸 이 놈을 바로 구울까,
아니면 냉장고에서 오래되었으니 끓는 물에 데칠까 궁리를
하다 도로 냉장고 한구석으로 밀어 넣는다.
16;00
때마침 2박 3일로 부산여행을 떠났던 손주 녀석들이
주차장에 도착했다는 신호가 떴다.
친구 사랑 글짓기 대회에서 최우수상(전교 1위)을 탄
큰 손주에게 무슨 말로 칭찬을 하고 격려를 해줄까.
오징어를 씹는 게 문제가 아니고 칭찬해 줄 말을 고르는 게
더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며 창문을 활짝 연다.
지루하게 내리던 비가 잠시 소강상태다.
아이들이 들어오자 잔뜩 가라앉았던 집안의 공기가 요란
하게 요동을 친다.
2024. 5. 6.
석천 흥만 졸필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느림의 미학 807 나를 찾아서 (0) | 2024.05.15 |
---|---|
느림의 미학 806 자아의 고독 (0) | 2024.05.11 |
느림의 미학 804 명자야! (0) | 2024.05.05 |
느림의 미학 803 천일야화(天日野花) (0) | 2024.05.01 |
느림의 미학 800 설렘은 나만의 봄병(春病) (1) | 2024.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