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869

느림의 미학 849 단풍나무의 비애(悲哀)

2024.  11.  19.  08;00영하권까지 떨어지게 만든 찬바람은 가을더위를 쫓아냈다. 가을비가 자주 오지 않아 누렇게 말라가던 단풍나무잎이 서리를 맞아 빨갛게 산야를 물들여간다. 매스컴이나 사람들은 이렇게 단풍이 물들면단풍이 불탄다, 절정이라는 말을 흔히 쓴다.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굴참나무,떡갈나무, 졸참나무 등 참나무 6형제가 제대로 붉어져가고, 이에 질세라 단풍나무도 점점 붉게 불타 오른다. 단풍나무 중 대표 단풍나무는 붉게 물드는당단풍과 노랗게 물드는 고로쇠나무로청단풍, 신나무, 아기단풍, 복자기나무와함께 단풍나무 6형제들이다. 이밖에도 공작단풍, 은단풍, 최근 청태산에서 만난 청시닥나무, 시닥나무, 우산고로쇠, 중국단풍, 미국꽃단풍, 섬단풍나무, 복장나무 등이 있다. 신나무..

나의 이야기 2024.11.19

느림의 미학 848 슬픈 모기와 뻔뻔한 인간모기

2024.  11.  16.  05;00숲길에 들어서자 윙♬~하며 모기가 달려든다.11월 중순인데 아직도 모기가 살아있다니,기후환경을 탓할 수도 없고 묘한 생각이 든다. 교과서에는모기는 섭씨 35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체온을 낮추려 활동이 줄어들고, 12도 이상으로 내려가면 활동을 멈춘다고 했다. 유난히 폭염이 심했던 지난여름 잠잠했던모기들이 기온이 14도에서 20도 정도 되는요즘 날씨에 활개를 친다. 11월답지 않게 연일 포근한 날씨가 이어진다.이 녀석들은 비로소 최적의 온도를 만나 먹이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모양이다. 모기는 해충(害蟲)일까, 익충(益蟲)일까.어느 소설가는 늦가을까지 살아남은 모기를'슬픈 모기'라고 표현했다. 모기는 보는 주체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사람이나 동물에 대들어 피를 빨거나 감염..

나의 이야기 2024.11.16

느림의 미학 847 세 번째 찾아온 위기

2024.  11.  14.이틀 전 11월 12일 오전 09;40분에환자용 수술복으로 갈아입고 수술대에 올랐다. 수술실 조명은 차가운 빛을 내뿜고,수술대 바닥은 오싹한 냉기를 내 등판에 옮긴다. PA 간호사가 좌안(左眼)을 고정시켜 마취액을 점안하고 소독제를 뿌리더니 움직이지 말라고 한다. 한두 번 겪은 거도 아닌데 수술대에만 오르면몸이 경직되고 긴장을 하니 아직도 어른아이를벗어나지 못한 모양이다. 19번째 눈주사를 맞기 위해 수술대 위에 누워 긴장 속에 떠 오르는 상념들, 오늘은 얼마나 지루하고 힘들까. 10여 분 후 주치의가 눈을 아래로 보라 하고, 몇 초 후 눈에 통증과 함께 주사액 한 방울이 황반에 퍼지는 걸 느낀다. 20분 전 안과 주치의가 CT 검사결과를 모니터로 보며 오늘도 눈주사를 맞으라 ..

나의 이야기 2024.11.14